한빛 아카이빙

학술조사보고

도서명 상주 무양동 근린생활시설 및 아파트 신축부지 내 상주 무양동 5번지 유적 (조선시대)
학술조사보고 학술조사보고 제97책
인쇄일 2024-10-24
발행일 2024-10-24
기획/출판 콘텐츠카페 협동조합

 본 보고서는 상주 무양동 근린생활시설 및 아파트 신축 조성부지 내 상주 무양동 5번지 유적의 매장 유산 표본 및 발굴조사에 대한 내용이다.

 조사의뢰인 김택수씨는 경상북도 상주시 무양동 5번지 외 2필지(2,241㎡) 일원에 근린생활시설 및 아파트 신축을 계획하고, 상주시청에 건축허가를 신청하였다. 그러나 상주시청은 이 일대에 대해 매장 유산 표본조사를 먼저 실시하고, 그 결과에 따라 조치하라는 의견을 통보하였다1). 이에 조사의뢰인 김택수씨는 본 연구원에 매장유산 표본조사를 의뢰하였고, 용역 계약을 체결 후(2022.08.19.), 표본조사를 진행하였다.

 표본조사는 2022년 08월 24일부터 25일(실조사일수 2일)까지 진행하였고2), 4개 트렌치 중 1개 트렌치 내부에서 수혈유구와 자기편, 기와편 등 유물이 확인되었다. 2022년 08월 25일 학술자문회의(경북대학교 명예교수 이희준, 계명대학교 교수 김권구)를 개최하였고, 유구와 유물이 확인되는 일대(190㎡)를 중심으로 정밀발굴조사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개진되었다.

 이에 본 연구원은 국가유산청 허가(허가번호 제2022-1374호)를 받고, 2022년 09월 19일부터 동년 동월 27일(실조사일수 6일)까지 발굴조사를 진행하였다. 그 결과, 구상유구 1기와 분청사기접시 1점, 백자저부편 2점 등 총 3건 3점의 유물을 수습하였고, 2022년 09월 27일 1차 학술자문회의(경북대학교 명예교수 이희준, 계명대학교 교수 김권구)를 개최하였다. 그러나 구상유구 1기가 북쪽 경계로 더 연장되기 때문에 북쪽 일대(90㎡)에 대해 추가 확장하여 구상유구 1기의 진행 방향과 잔존 규모, 형태 등 그 성격을 분명하게 파악하라는 의견이 개진되었다. 따라서 본 연구원은 국가유산청 변경허가(2022.10.20.)를 받아 추가 보안조사를 진행하였다.

 추가 보안조사는 2022년 10월 21부터 동년 동월 24일(실조사일수 3일)까지 진행하였고, 구상유구의 규모와 진행 방향에 대해 파악 후, 현장조사를 종료하였다3).

 따라서 본 발굴조사는 2022년 09월 19일부터 동년 10월 24일(실조사일수 9일)까지 진행하였고, 구상유구 1기와 분청사기접시 1점, 백자발 1점, 백자저부편 2점 등 총 4건 4점의 유물을 수습하였다.

본문

 본 보고서는 상주 무양동 근린생활시설 및 아파트 신축 조성부지 내 상주 무양동 5번지 유적의 매장 유산 표본 및 발굴조사에 대한 내용이다.

 조사의뢰인 김택수씨는 경상북도 상주시 무양동 5번지 외 2필지(2,241㎡) 일원에 근린생활시설 및 아파트 신축을 계획하고, 상주시청에 건축허가를 신청하였다. 그러나 상주시청은 이 일대에 대해 매장 유산 표본조사를 먼저 실시하고, 그 결과에 따라 조치하라는 의견을 통보하였다1). 이에 조사의뢰인 김택수씨는 본 연구원에 매장유산 표본조사를 의뢰하였고, 용역 계약을 체결 후(2022.08.19.), 표본조사를 진행하였다.

 표본조사는 2022년 08월 24일부터 25일(실조사일수 2일)까지 진행하였고2), 4개 트렌치 중 1개 트렌치 내부에서 수혈유구와 자기편, 기와편 등 유물이 확인되었다. 2022년 08월 25일 학술자문회의(경북대학교 명예교수 이희준, 계명대학교 교수 김권구)를 개최하였고, 유구와 유물이 확인되는 일대(190㎡)를 중심으로 정밀발굴조사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개진되었다.

 이에 본 연구원은 국가유산청 허가(허가번호 제2022-1374호)를 받고, 2022년 09월 19일부터 동년 동월 27일(실조사일수 6일)까지 발굴조사를 진행하였다. 그 결과, 구상유구 1기와 분청사기접시 1점, 백자저부편 2점 등 총 3건 3점의 유물을 수습하였고, 2022년 09월 27일 1차 학술자문회의(경북대학교 명예교수 이희준, 계명대학교 교수 김권구)를 개최하였다. 그러나 구상유구 1기가 북쪽 경계로 더 연장되기 때문에 북쪽 일대(90㎡)에 대해 추가 확장하여 구상유구 1기의 진행 방향과 잔존 규모, 형태 등 그 성격을 분명하게 파악하라는 의견이 개진되었다. 따라서 본 연구원은 국가유산청 변경허가(2022.10.20.)를 받아 추가 보안조사를 진행하였다.

 추가 보안조사는 2022년 10월 21부터 동년 동월 24일(실조사일수 3일)까지 진행하였고, 구상유구의 규모와 진행 방향에 대해 파악 후, 현장조사를 종료하였다3).

 따라서 본 발굴조사는 2022년 09월 19일부터 동년 10월 24일(실조사일수 9일)까지 진행하였고, 구상유구 1기와 분청사기접시 1점, 백자발 1점, 백자저부편 2점 등 총 4건 4점의 유물을 수습하였다.